2020년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(R&D) 지원계획 수정 공고
사업개요
지역 일자리 창출 확대 및 지역 기업 매출 신장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기 위해 시제품 제작, 특허, 인증, 마케팅 및 역량강화 등 기업지원서비스(비R&D)를 제공해 드리는 사업입니다.
☞ 지역혁신기관 단독 또는 기업지원이 가능한 기업
☞ 시제품 제작, 특허, 인증, 마케팅 및 역량강화 등 지원
지원분야 및 대상
ㅇ 추진체계 : 지역혁신기관* 또는 기업지원이 가능한 기업 단독
* 지역혁신기관 : 대학, 연구소, 특화센터, 협회, 지역디자인센터 등
- 지역별 주력산업분야 중소기업에 기술지원, 사업화지원 및 역량강화 등 기업지원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는 기관 또는 기업
– 기업지원 품목(프로그램)
유형
|
내용(목적)
|
프로그램
|
기술지원
|
상품(부품) 품질 개선
|
컨설팅, 시제품제작, 기술지도, 인증지원, 특허지원 등
|
사업화지원
|
상품(부품) 부가가치 제고
|
컨설팅, 제품고급화, 디자인개선, 브랜드개선
|
상품(부품) 판매 확대
|
상품기획, 네트워킹, 전시회, 마케팅
|
|
역량강화
|
전문인력 양성
|
장비교육, 기술교류 Lab 운영 등
|
ㅇ 지원 제외 대상
– 국가연구개발사업에 참여제한중인 자 또는 기업(기관)
* 주관기관, 참여기관, 주관기관의 장, 참여기관의 장, 총괄책임자 등이 해당할 경우, 원칙적으로 지원제외 처리하며, 참여연구원이 해당하는 경우 해당자 변경 필요
* 「지역산업육성사업 기업지원사업 평가관리지침」<별표3> 신청과제 사전검토시 사전지원제외 및 사후관리 검토기준에 따라 사전지원제외 되거나 사후관리 대상으로 별도 관리 될 수 있음
– 현재 총괄책임자가 3개 이상의 과제를 추진하고 있는 경우 사전지원제외 될 수 있음
* 참여연구원이 수행하고 있는 과제가 5개를 초과하는 경우 참여연구원에서 제외
– 주관기관, 참여기관, 총괄책임자 등이 접수마감일 현재 의무사항(각종 보고서 제출, 기술료, 기술료 납부계획서 제출, 정산금 또는 환수금 납부 등)을 불이행하고 있는 경우
지원조건 및 내용
ㅇ 사업내용 : 시ㆍ도 단위 지역주력산업분야의 기업지원서비스(비R&D) 과제 지원
– 2020년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 세부개요(단위 : 억원)
구분
|
지원프로그램
|
지원규모
|
지원기간
|
지원한도
|
사업공고
|
신청접수
|
평가선정
|
시도 주력산업
|
주력산업 비R&D
|
289
|
1년 이내
|
5
|
‘20.1월
|
‘20.2월.
|
‘20.3~4월
|
* 신규과제로 진행하며, 지원규모는 지방비 예산을 포함한 금액, 지원기간․지원한도 비중은 ‘최대’를 의미
* 과제별 민간부담 현금 및 현물 비율은 별도의 제한사항 없음
ㅇ 신규과제 선정규모 : 289억원 (국비 193억원, 지방비 96억원)
* 지역별 지원예산은 ‘해당 지역별 지원계획’ 참조
ㅇ 사업내용 : 지역혁신기관이 보유한 자원을 활용하여 해당지역 주력산업분야 중소기업에 시제품 제작, 특허, 인증, 마케팅 및 역량강화 등 기업지원서비스 제공
* 지역별 지원내용은 ‘해당지역별 지원계획’ 참조
ㅇ 공모방식 : 품목지정
– 지역별 지원계획에 첨부된 품목개요서를 참고하여 사업계획서 작성 및 제출
ㅇ 지원규모 및 기간 : 5억원 이내, 12개월(‘20.3~’21.2)
ㅇ 지원예산(단위 : 백만원)
지역
|
주력산업 비R&D
|
||
국비
|
지방비
|
합계
|
|
부산
|
1,400
|
723
|
2,123
|
대구
|
1,900
|
938
|
2,838
|
광주
|
1,400
|
898
|
2,298
|
대전
|
1,400
|
902
|
2,302
|
울산
|
1,400
|
–
|
1,400
|
세종
|
578
|
248
|
826
|
강원
|
1,400
|
634
|
2,034
|
충북
|
1,400
|
634
|
2,034
|
충남
|
1,400
|
1,212
|
2,612
|
전북
|
1,400
|
635
|
2,035
|
전남
|
1,400
|
904
|
2,304
|
경북
|
1,400
|
600
|
2,000
|
경남
|
1,400
|
600
|
2,000
|
제주
|
1,400
|
720
|
2,120
|
합계
|
19,278
|
9,648
|
28,926
|
지원절차
공 고
|
→
|
사업계획서 접수
|
→
|
현장실태 조사
|
|
→
|
평가위원회 개최
|
→
|
이의신청 처리 및 평가결과 확정
|
→
|
협약체결 및 사업비 지급
|
신청방법 및 서류
– 온라인 :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사업관리시스템(www.k-pass.kr)
– 제출처 : 해당 지역 지역사업평가단(하단의 문의처 참조)
ㅇ 신청 서류 : 사업계획서, 품목개요서 등
가점우대제도
ㅇ 가족친화기업 인증
ㅇ 녹색기술인증기업
ㅇ 성과공유제 도입기업 확인서
ㅇ 신기술인증(NET)
ㅇ 신제품인증(NEP)
ㅇ 우수디자인상품(GD)
ㅇ 동반성장지수 우수기업
주관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
주관기관 | 한국산업기술진흥원 | 담당부서 | 지역기업성장팀 |
---|---|---|---|
전화번호 | 02-6009-3743 | 홈페이지URL | http://www.kiat.or.kr/ |
담당자명 | 사업담당자 |
접수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
접수기관 | 한국산업기술진흥원 | 담당부서 | 지역별 지역사업평가단 |
---|---|---|---|
전화번호 | 하단의 문의처 참조 | 홈페이지URL | http://www.kiat.or.kr/ |
담당자명 | 사업담당자 |
기타사항
문의처
ㅇ 중소벤처기업부 지역기업육성과(042-481-1678, 80)
ㅇ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지역기업성장팀(02-6009-3743)
ㅇ 지역별 지역사업평가단(관리기관)
지역명
|
문의전화
|
주 소
|
부산
|
051-315-9264
|
부산 사상구 엄궁로 70-16, 1층 112호
|
대구
|
053-818-9565
|
대구광역시 북구 경대로 17길 47 경북대학교 IT융합산업빌딩 10층
|
광주
|
062-604-9121
|
광주광역시 북구 추암로 249 광주이노비즈센터 9층
|
대전
|
042-864-4271
|
대전 유성구 문지로 193 한국과학기술원 문지캠퍼스 학부동 202호
|
울산
|
052-248-5765
|
울산 중구 종가로 362-11 울산과학기술진흥센터 201호
|
강원
|
033-258-2681
|
강원 춘천시 강원대학길1 60주년기념관 8층 803호
|
충북
|
043-278-2711
|
충북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오송생명1로 194-41 충북산학융합본부 기업연구1관 203호
|
충남
|
041-415-2165
|
충남 천안시 서북구 광장로 215(충남경제종합지원센터 6층)
|
전북
|
063-278-9739
|
전북 전주시 덕진구 백제대로 567 전북대학교 건지원(건물 No.1-10) 1층
|
전남
|
061-399-9722
|
전남 나주시 그린로 370 에너지밸리기업개발원 1층
|
경북
|
053-818-9514
|
경북 경산시 삼풍로 27 글로벌벤처동 4층 2403호
|
경남
|
055-259-3404
|
경남 창원시 의창구 창원대로 18번길 22 본부동 405호
|
제주
|
064-759-7427
|
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첨단로 213-3 스마트빌딩 420호
|
* 세종특별자치시 지원과제에 대한 평가․관리는 (재)충남지역사업평가단에서 담당
![]() |
![]() |
![]() |